거대한 정보의 더미들/중국어해체분석기

강희자전, 한자 발음의 유추에 대한 주절주절글

PurpleGuy101 2025. 1. 25. 18:20

 

 

0.

 

한자문화권에서 한자를 읽는 방법은 

묘하게 비슷한 경향이 있다..

 

가령 

한국어로 혹시 시간Time있습니까? 일본어로 말하고 싶다면...

Shikan Arimas+ka? 해버리면

일본인들이 대강 알아듣는다.

かんShikan이 아니라  じかんJikan 이 올바른 발음이긴한데

이정도면 사투리수준의 범위에서 알아먹을수 있는 수준의 변형이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써먹을 수가 있다.

 

틱톡에 올라온 30분 무료마사지와 같이 말이다.

 

 

1.

 

마찬가지로...

중국어로도 시간있습니까?라고 말할때, 

有 时间 吗?  You Shigan Ma?라고 물어본다면...

중국인들은 이해해주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중국에서 时间 혹은 時間의 발음은 shíjiān 이고

중국에서 gan과 jian의 음은 각각의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런 꼼수가 먹히지 않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의 '간'자는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jian으로 따로 인식해서 외워놓아야 하는 중국어인 셈이다.

 

2.

 

하지만... 이런 한국어 한자의 g발음이 중국어 j발음으로 바뀌는 상황,

시간의 '간'이 '지엔'으로 바뀌는 맥락을 외워놓으면

유용해지는 구간이 있다.

 

가령 성씨로 많이들 쓰이는 오얏나무 리李 자가 

두음법칙에 의해서 이제는 Yi로 발음되지만...

여전히 북한에서는 Li로 발음되는 것을 보면

언어는 시간에 따라서 변화하는 특성이 있겠거니 한다.

 

중국도 표준중국어로 합쳐지기 이전에

다양한 지역, 가령 광동어나 북경어같이 넓은 지역의 언어를

거쳐가면서 한자발음법이 한국과는 달라진 부분이 존재했을 것이기에

그 변화과정이 있기야 하겠다만 그걸 다 파악할 필요는 없고

 

그냥 지금 발음되는걸 토대로

한국발음->중국발음의 특정한 음운의 변화에 대한 

법칙이나 경향성만 파악해도..

써먹을만 하지 않을까..?

 

3.

 

가령 집에서 쓰이는 침대, 장롱 같은 

가구 家具 , gagoo는 중국어로  jiā jù이고

 

오래되었다는, 옛의 의미를 가지는 구古는 한자어로 jiu가 된다.

 

이는 한국어의 g음운으로 발음되는 한자어에 대해서

중국어의 j음운으로 변환하는 전략이

 

꽤나 요긴하게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4.

 

이러한 전략이 뭐 멀리갈것 까지도 없는게,

(https://namu.wiki/w/강희자전)

18세기에 청나라황제 강희제가 한자사전인 강희자전康熙字典을 편찬하면서

字典cidian 지금 중국어의 사전 뜻의 유래가 되는 표준을 만들어버렸고,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중국, 광동, 일본, 한국, 베트남에서다 이 표준을 토대로 발음을 통일시켰기 때문에

 

각각의 언어에서의 발음 또한 비슷할 수 밖에 없다.

 

5.

 

한국어 표기법으로는 1음절의 옌이 3음절이 '응' '우' '옌'으로 표기되어

이상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러면 안되지 않나..

다문화사회에서는 그런식의 터부를 막 좋다 나쁘다에 그칠게 아니라..

이러한 현상이 왜 일어났는지에 대한 현상을 파악할 필요가 있어보인다..

 

 

베트남의 축구선수 阮光海는 Nguyễn Quang Hải로 발음되나,

중국어로는 yuan guang hai

일본어로는  gen kou kai

한국어로는 won guang hae

인데

 

미국이나 유럽사람들이 보면

넷다 도찐개찐으로 느낀다..

 

각 언어마다 사용하는 음운이 다르고..

안쓰는 음운은 존재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이상하게 바꿔서 인식해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그 현상을 알지 못하면...그 언어를 우습게 생각하는?

현상도 뒤따라 생기는 듯하다베트남이 빨리 발전해서 이런 인식을 뒤집어주었으면 한다.

 

 

6.

 

메르성님이 올리신 글에서 봤던 내용인데..CIA와 같은 미국의 보안관련 단체에서 정보를 수집할때..90%의 정보는 쉽게 구할 수 있는 공개된 정보였다고 한다

 

공학에 관한 자료는 구글스칼라나 네이쳐지도 있고..

경제나 통계 관련 자료는 메르블로그를 탐방하면서 파악을 해봐야겠다.

 

 

 

 

이런 국내 언어쪽 자료는 어딜봐야 할까...대학졸업해서 DB피아 구독이 끊겨서 아쉽네

 

구글링해보니까 KOAJ 가 있긴하다. (https://www.kci.go.kr/)

 

 

「강희자전」 전래본의 조사 분석과 현대적 활용 연구
A Study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Hereditary Texts of Ganghee Dictionary and its Modern Utilization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1783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