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401 중국어 문장 분석해보기 能否逆天改命?
( * 필자는 HSK 4급 수준입니다. 잘못된 지식이 있을 수도 있으니 재미로만 봐주세요)
0.
영풍문고에서 마사요시 손의 자서전을 읽은 적이 있다..
미국에서 발간된 영어책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이였는데,
거기서 손회장님이 멘토에게 들었던 이야기가 어렴풋이 기억이 난다..
돈코츠라멘 사업을 하고 싶다면,
일단 돼지를 잡아서 국물을 우려내봐라?였나?
너무 이것저것 계산하지말고
일단 헤딩하고 시행착오를 거쳐서 무언가의 노하우를 얻으라는 그런 이야기였다.
문제는 그 책을 슥 훑고 다시 꽂아놓아버려서
그 이야기가 어디서 나온 책인지 기억이 안난다 😰😰
하여튼, 중국어 어법을 이정도까지 공부했으니
관심분야에 관한 내용과 엮어서 무언가라도 번역하면서 헤딩을 해보자.
1.
梭教授说
@hellosuoha
终终终于要TGE了🤣,不知道能不能来个链上TGE复刻一个,
希望质押+投票有个好的收获😭。
虽然以我每次都被反撸的体质,能否逆天改命。
2.
"终终终于要TGE了"
zhōng zhōng zhōng yú yao TGE le
终 끝날 종 zhōng
终于 zhōng yú -> 끝내, 마침내, 드디어
终终终于 zhōng zhōng zhōng yú -> 끝끝끝내, 终于를 길게 늘여서 쓴 표현이다.
要TGE了
yao TGE le
要 ~ 了 구문은, 중국어 문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미래에 어떤 일이 임박했음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즉, 이 상황에서는 TGE를 하려고 한다는 의미이다.
3.
"不知道 能不能 来个 链上TGE 复刻 一个"
bù zhī dào néng bù néng lái gè liàn shàng TGE fù kè yí gè
(1)
不知道 : 모르겠다. 술어로 쓰임
能不能 : 할 수 있는지. 조동사로 쓰임
(2)
来个 链上TGE复刻一个 :
来个 lái gè -> 来 一个의 준말. 하나 해보자/ 하나 만들어보자.
链上TGE liàn shàng TGE
-> 명사구.
란샹은 블록체인의 온체인 환경을 의미하며,
链上TGE은 온체인 상의 TGE를 의미한다.
(3)
复刻 一个 fù kè yī gè :
동사 + 수량사 + 명사,
복제하다, 재현하다, 복각하다, 리메이크하다 정도의 의미.
여기서는 구현하다에 가깝지 않을까?
(4)
来个 链上TGE 复刻一个:
lái gè liàn shàng TGE fù kè yī gè
-> '온체인TGE를 구현해 오는 것 '
(5)
"不知道 能不能 来个 链上TGE 复刻 一个"
bù zhī dào néng bù néng lái gè liàn shàng TGE fù kè yí gè
-> '온체인TGE를 구현해올 수 있을지를 모르겠다
라고 해석하면 되겠다.
4.
希望质押+投票有个好的收获😭。
xī wàng zhì yā + tóu piào yǒu gè hǎo de shōu huò
希望 xī wàng : 희망하다. 이 문장의 술어다.
质押 zhì yā : 스테이킹, 예치
投票 tóu piào : 투표, 이경우에는 블록체인 상의 거버넌스에 관련된 투표를 의미한다.
有个 yǒu gè : 있기를 바란다.
好的收获 hǎo de shōu huò : 좋은 수확
그러니까, 번역하자면
"스테이킹과 투표가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을 희망하다
이렇게 번역할 수 있겠다.
5.
有个 yǒu gè의 용법을 처음 본 것 같다.
사실
希望质押+投票有好的收获 으로 써도 문제는 없다.
이 경우에도 "스테이킹과 투표"에서 좋은 결과가 있는 것을 희망하다가 된다.
有 대신에 有个를 쓰는 것은, 미묘한 늬양스의 차이를 불러오는데,
구어체적인 의미, 뒤에 오는 명사를 강조하는 의미, 뒤에오는 명사의 수량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게 된다.
我有帽子 wǒ yǒu mào zi
-> 나는 모자가 있다
라는 문장은
我有个帽子 wǒ yǒu gè mào zi
-> 나는 모자 하나 있어
를 통해서
한개의 모자에 대한 강조, '한개'라는 수량 강조, 자연스럽고 구어체적인 의미
등을 담게 된다.
6.
虽然 以我 每次都 被反撸的体 质,能否逆天改命。
suī rán yǐ wǒ měi cì dōu bèi fǎn lū de tǐ zhì, néng fǒu nì tiān gǎi mìng.
긴 문장이다. 우선 앞의 문장부터 해석해보자.
虽然 suī rán : 비록 ~지만
以我 .. 质 yǐ wǒ .. zhì : 나의 ~한 특성로서는 ( 质 = 체질, 기질, 특성)
每次都 měi cì dōu : 매번 전부, 항상
被反撸 的体 bèi fǎn lū de tǐ : 역으로 털리는 기질. 한국어의 '역관광'에 해당하는 듯하다.
-> 비록 매번 역관광 당하는 내 체질이지만,
이라고 번역된다.
7.
能否 néng fǒu : ~할 수 있을까? 라는 자조적 의문을 나타내는 술어. 한국에서는 "가능?"에 해당한다
逆天改命 : nì tiān gǎi mìng 하늘을 거스르고 운명을 바꾸다, 중국커뮤의 무협적 meme 표현
能否逆天改命
néng fǒu nì tiān gǎi mìng
-> 하늘을 거스르고 내 운명을 바꿀 수 있을까?
라고 번역된다.
8.
즉,
虽然 以我 每次都 被反撸的体 质,能否逆天改命。
suī rán yǐ wǒ měi cì dōu bèi fǎn lū de tǐ zhì, néng fǒu nì tiān gǎi mìng.
은
비록, 매번 전부 역관광 당하는 나의 기질이 있더라도, 하늘을 거스르고 내 운명을 바꾸기 가능?
이정도의 문장으로 번역되는 듯하다.
그렇다면 能否 néng fǒu는
吗와 같은 의문형 어미를 사용하지 않고
能不能으로 치환가능한 의문문용 술어라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