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04 보어 복습 + 중국어의 做 zuò 주절주절
0.
让我感到为难的 是挣扎的自由
ràng wǒ gǎndào wēi nǎnde, shì zhēngzhá de zìyóu
나에게 힘들다는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은, 자유에 대한 갈망이야
- 청두, 쟈오레이의 곡
해커스 강의를 들으면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있다.
HSK에는 듣기, 읽기, 쓰기가 있지만
실전 시험에서 쓰기는 사진을 보고 주절주절 설명을 쓰는 반면
이 강의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문법을 가르치는 것으로 갈음하고 있다.
1.
중국어의 기본문법의 마지막 단계인
보어에 대해서 배웠다.
영어의 자동사라고 들어본적이 있는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동사들을 의미한다.
1형식 동사는 혼자서 쓰이는 자동사(intransitive verb)고,
2형식 동사는 혹은 보어에 의해 꾸밈을 받는 동사(copular verb)들을 의미한다.
2.
가령 exist는 1형식 동사로서,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도 않고, 보어에 의해 꾸밈을 받지도 않는다.
He exists, 그는 존재한다. 이것 뿐이다.
하지만 is는 다르다.
셰익스피어를 읽을정도로 영문학을 자세히 공부한 사람들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is는 보통 보어에 의해 꾸밈을 받는다.
He is a doctor, He is funny, He is beautiful..
위의 문장에서, 명사인 a doctor, 형용사인 funny, 형용사인 beautiful이 전부 is를 도와
He의 상태를 기술하는 것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러니까, 이 경우 a doctor, funny, beautiful이 해당문장의 보어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3.
영어에서 이러한 문법적 개념들을 잘 배웠다면,
중국어의 보어 또한 서술어(Verb)의 보충이라는 방향으로 이해해볼만하다.
중국어 역시, 기본적인 틀은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아니면
주어 + 서술어 (+ 보어) 형태의 문장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어의 종류가 생각보다 많아보인다.
중국어에서 보어의 비중이 상당히 비대해서 그런건가?
정도, 결과, 방향부터 보자.
4.
(정도보어)
서술어에 "매우"같이 정도를 강조한다.
동사는 대충 먹을chi나 찾다zhao로 두고 뒤에 보어를 대강 갈아끼워보면 감이 온다.
真的zhēn de 처럼 "매우"라는 의미가 첨가된다.
술어를 강조하는 极jí, 坏huài, 死sǐ, 了le
5.
(결과보어)
完wán, 到dào, 成chéng, 掉diào
먹는 것을 "완료"했어, 다먹는 것에 "도달"했어, 먹는것에 "성공"했어, 다 먹어 "버렸"어
好hǎo, 光guāng, 对duì, 错cuò, 清楚qīngchǔ
"잘"먹었어, 다 먹어"치웠"어, "올바르게"먹었어, "잘못"먹었어, "확실하게"먹었어
6.
(방향보어)
술어의 방향에 대한 의미를 첨가하는 보어들로
来lái, 去qù, 上shàng, 下xià, 进jìn, 出chū, 回huí, 过guò, 起qǐ, 开kāi 가 있으며
이들을 来 lai와 去 qu 와 합친
上来 shànglái, 上去 shàngqù 올라오다 올라가다
下来 xiàlái, 下去 xiàqù 내려오다 내려가다
进来 jìnlái, 进去 jìnqù 들어오다 들어가다
出来 chūlái, 出去 chūqù 나오다 나가다
过来 guòlái, 过去 guòqù 다가오다, 다가가다
回来 huilai, 回去 huiqu 돌아오다, 돌아가다
등이 있다.
7.
(가능보어)
오히려 중국여행가면 가장 먼저 배우게 될 말이 이거다.
听不懂 tīngbùdǒng, 听不了 tīngbùliǎo
서술어뒤에 붙어 가능하다, 불가능하다의 서술어로 바꿔주는데
이전에는 이 가능보어의 개념을 몰라서
我不可以说汉语 wǒ bùkěyǐ shuō hànyǔ
我不能说汉语 wǒ bùnéng shuō hànyǔ
我不会说汉语 wǒ bùhuì shuō hànyǔ
와 같이 말하고 다녔었다.
8.
이 가능보어의 특징으로는
위에서 배운 결과보어나 방향보어에서 쓰이던 보어들에
完wán, 的de, 不完bùwán, 不的bùde 를 붙여서 가능/불가능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走不回来 zǒubùhuílái 처럼
回来 huílái 앞에 不 bù를 붙여 보어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말이다.
의미적으로는 "돌아올수 없다"라는 서술어를 의미하게 된다.
그 이외에는 了 liao나 不 了 bu liao 정도?
예도 가능의 의미가 된다.
9.
(수량보어)
술어에 동작의 횟수, 지속된 시간의 양 정도를 나타내는 보어이다.
앞서서 배운 정도/결과/방향/가능 보어들은
영어나 한국어의 서술어에서 배운 짬바로
ㅇㅋ하고 이해하고 넘어가는데
여기서부터는 얘가 보어인가?하는 생각이 든다.
동량보어 시량보어 뭐시기 뭐시기하는데
강의를 다시 들어봐야겠다.
여기서부터는 중국어만의 감각으로 배워서 와야겠다.
10.
해커스의 책에 이런 구문이 있었다.
爸爸做完了菜 bàbazuòwánlecài
아버지가 음식을 다만들었다라는 의미인데..
이 做 zuò라는 단어가 한국어의 '-하다'나 일본어의 'するsuru'어미에 잘 대응되는 것 같다.
명사 요리가 동사 요리하다가 되고.. 명사 낚시가 동사 낚시하다가 되고..
영어에서는 Papa did finish a cooking?정도 일텐데,
명사memo에다가 do를 붙여서 동사가 되게 하는 것과도 비슷하네
그러니 做 zuò는 영어의 do, 한국의 -하다 라고 생각하자.